JavaScript

변수 / 자료형

콩세 2023. 3. 27. 09:51

Java Script에서 변수란?

어떤 정보에 이름을 붙여서 저장하고 싶을때 사용한다.

ex) name = "Mike";

       age = 30;

 

함수

alert() : 경고창을 띄우는 함수

console.log() : 콘솔에 로그를 출력하는 함수

 

변수 선언 시 사용하는-

let : 변할 수 있는 값 선언시 사용

const : 절대 바뀌지 않는 상수. 수정x

* 모든 변수를 const로 선언하고, 추후에 변경 가능성이 있는 변수를 let으로 바꿔주기.

 

변수 특징

- 문자, 숫자, $, _만 사용

- 첫 글자는 숫자가 될 수 없다.

- 예약어는 사용할 수 없다.

- 가급적 상수는 대문자로 알려준다.

- 변수명은 읽기 쉽고 이해할 수 있게 선언한다.

 


 

자료형

 

1) 문자형 String

const name = 'Mike';
const age = 30;
const message=`My name is $(name)`;
console.log(message)

=>My name is Mike

 

2) 숫자형 Number

const age = 30;
const PI = 3.14;
console.log(1+2); // 더하기
3

console.log(10-3); // 빼기
6

console.log(3*2); // 곱하기
6

console.log(6/3); // 나누기
2

console.log(6%4) // 나머지
2

숫자를 0으로 나누면

const x = 1/0

console.log(x)

=> Infinity

 

문자를 숫자로 나누면

const name = 'Mike';

const y = name/2;

console.log(y)

=>NaN // Not a Number

 

3) Boolean

const a = ture; // 참
const b = false; // 거짓

const name = 'Mike';
const age = 30;

console.log(name == 'Mike)
// name이 Mike가 맞으니까 true

console.log(age > 40)
// age가 30으로, 40보다 작으니까 false

 

4) null & undefined

let age;
console.log(age)
// undefined => 변수를 선언만 하고 아무 값도 부여하지 않았을떄

 


 

typeof 연산자 : 변수의 자료형을 알아낼 수 있다.

console.log(typeof 3); => "number"

console.log(typeof true); => "boolean"

 

* 다른 개발자가 작성한 변수의 타입을 알아야할 떄 등 사용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