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input함수
- while
- ReactNative
- sqldf
- 동일성 연산자
- vs code
- 반복문
- summarise()
- match case
- mutate()
- 조건문
- 제어문
- python
- 별찍기
- Django
- sd()
- 점프투장고
- COUNT()
- group_by()
- notion
- pycharm
- inflearn
- react
- f-string
- R 데이터 분석
- 자료형
- Swift
- javascript
- 멤버십 연산자
- 소수출력
- Today
- Total
목록javascript (4)
✏️
배열 : 순서가 있는 리스트 '1번 철수, 2번 영희, ... 30번 영수'를 코드로 표현하면⬇️ let students = ['철수', '영희', ... '영수']; 배열은 대괄호로 만들고 쉼표로 구분한다. index = 배열을 탐색할때 사용하는 고유번호 / 0부터 시작한다. 배열의 특징 - 문자 뿐만 아니라 숫자, 객체, 함수 등도 포함할 수 있다. - length : 배열의 길이 / 배열이 가지고 있는 요소의 개수 - push : 배열 끝에 추가 let days = ['월','화','수'] days.push('목') console.log(days) // ['월', '화', '수', '목'] - pop : 배열 끝 요소 제거 let days = ['월','화','수']; days.pop() conso..
// 이름이 없는 함수를 만들고 변수(sayHello)를 만들어 함수를 할당했다. // 함수 표현식 let sayHello = function(){ console.log('Hello'); } sayHello(); // 함수 선언문 function sayHello(){ console.log('Hello'); } sayHello(); 함수 선언문은 어디에서든 호출할 수 있다. sayHello(); function sayHello(){ console.log('Hello'); } 호출을 먼저하고 함수를 선언해도 정상적으로 작동된다. 자바스크립트는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차례대로 한줄씩 읽으면서 실행되는, 순차적으로 결과를 즉시 반환하는 언어 = 인터프리터 언어(Interpreted language) 그럼에도 위의..

비교연산자 조건문 어떤 조건에 따라 이후 행동이 달라지게 만들어줌 if문 괄호 안의 조건을 평가해서 true면 실행해줌 ex) if(age > 19){ console.log('환영합니다.'); } => 괄호 안의 age가 19이상이면 중괄호 안의 코드가 실행된다. => if 뒤 괄호 안의 값은 항상 boolean값으로 판단됨 (true/false) else절 if문의 조건이 false일떄 실행됨 const age = 30; if(age > 10){ console.log('환영합니다.'); } if(age 10){ console.log('환영합니다.'); } else { console.log('안녕하가세요.'); } // age가 10 초과가 아니니까 '안녕히가세요.'가 실행된다. // if, else, ..
1) String() : 문자형으로 변환 2) Number() : 숫자형으로 변환 const mathScore = prompt("수학 점수를 입력하세요."); const engScore = prompt("영어 점수를 입력하세요."); const result = (mathScore + engScore) / 2; console.log(result) 수학점수 90, 영어점수 80을 입력했을때 result가 85가 나와야 정상. 하지만 4540이 출력된다. ★prompt로 입력받은 값은 문자형으로 저장되기 떄문이다. (문자열 45 + 40은 4540으로 출련됨) const mathScore = 90; const engScore = 80; const result = (mathScore + engScore) / 2..